백고무신 부부
달서구-달성습지~사문진나루터_2025.03.26 본문
☞. 언제? : 2025/03/26
☞. 어디를?(주봉/높이/행선지) : 달서구-달성습지~사문진나루터_
☞. 들머리는? : 대구 달성군 화원읍 구라리 795-3 (달성습지 주차장)
☞. 특징,볼거리는? : “달성습지, 다목적광장, 생태학습관, 사문진나루터, 화원성산리고분군, 초화원, 송사정, 전망터, 상화토대, 화원정”
☞. 누구하고? : 와이퍼하고 둘이 서~
☞. 난이도는? : 달서구 송현동 청소년수련원에서 앞산 자락길을 걷는 아름다운 코스입니다.
☞. 이동코스/거리는? : 청소년수련관(주차장)→지장사→임휴사→첨운재→월곡지→석정→달비골→평안동산-원점회귀 (이동거리 계 약 7.8km),
9. 자체평점은 : ●●●○○
♣.대명유수지 :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천동에 위치한 생태학습장으로 전국 최대 맹꽁이 서식지인 달성습지의 맹꽁이를 눈으로 보는 생태체험이 가능한 곳이다. 대명이라는 이름과 달리 대명동에 위치해있지는 않고 대명동을 지나가는 대명천과 낙동강의 합류부(대명유수지)라 이름이 지어졌다. 대명유수지 일원(258,000㎡)에 조성되어있으며 넓게 펼쳐진 갈대밭의 풍경이 가히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달상습지(주차장) 다목적광장을 시작으로 생태학습관 : 달성군 화원읍 구라리에 조성된 생태학습관으로 달성습지의 홍보 및 생태체험을 전문적으로 하는 기관이다. 총 면적 2,029㎡ (전시면적 970㎡), 지상 3층 규모로 2017년 착공하여 2019년 완공되었다. 생태 이야기실, 낙동강 이야기실, VR체험관, 기획전시관, 시청각실 등이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화원동산 서쪽에 화원동산이랑 바로 붙어있다.
♣.달성습지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하빈면부터 화원읍 구라리, 고령군 다산면 일대까지 형성되어있는 하천습지로 낙동강과 금호강, 진천천과 대명천이 만나는 지점에 있으며 과거 이런 하천들의 범람으로 만들어진 범람습지이기도 하다. 전체 면적은 약 2㎢ 정도로 규모가 큰 습지에 속한다.
하천의 침식작용 등으로 인하여 생긴 언덕, 절벽이며 감입곡류천 양안에 잘 나타난다. 화원동산 하식애는 천연 산림유전자원보호구역으로 지정해 놓은 모감주나무군락지를 비롯한 무수한 희귀 식물들의 생태보고라 한다.
⬔.사문진나루터 : 조선시대 낙동강과 금호강을 연결하는 하천 교통의 요지이며 대구로 통하는 관문 역활을 했다.
달성군에서 관광 명소로 꾸며놓은 사문진 주막촌의 이모저모와 2018년 개통된 낙동강변 1km의
달성습지 생태 탐방로 가는 테크길이 시원스레 조성돼 있다. 우리나라 피아노가 이 나루터를 통해 최초로 유입돼 들어왔다, 또한 4대 강 사업으로 인하여 팽나무가 사라질 위기에 놓였으나 달성군의 노력으로 보존되었으며 2013년 옛 주막촌 복원으로 대구 시민들의 멋진 휴식공간으로 재탄생하게 되었다고 한다..
과거 수십기의 고분이 있었으나,화원동산이 조성되면서 대부분 없어졌고 지금은 4기만 남아 있다. 고 한다.
계속 위로 올라 가면
초화원을 지나 송사정은 (화원정)과 함께 안동댐을 만들 때 도산서원 주변에서 옮겨온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봄철 송사정 주변에 벚꽃이 흐드러져 한쪽의 선경을 연출한다.
화원동산(89m) 전망대
화원동산 서편 토성으로 오르다 보면 낙동강 절벽을 끼고 화원정이라는 현판을 단 정자 한 채가 고즈넉하게 서있다. 이 정지는 송사정과 함께 안동댐을 만들 때 도산서원 주변에서 옮겨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태학습관에 들러 사진전을 구경하고 회귀합니다.
'체력은국력 > 둘레길, 관광(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도-새마을운동발상지, 밀양-아리랑대공원, 위양지, 가산저수지_2025.04.07 (0) | 2025.04.07 |
---|---|
구미-지산샛강 생태공원길_2025.03.29 (0) | 2025.03.30 |
달서구 송현동-청소년수련관_2025.03.24 (0) | 2025.03.26 |
화원-남평문씨세거지~대구수목원_2025.03.20 (0) | 2025.03.20 |
문양-마천산, 마천산산림욕장_2025.03.19 (0) | 2025.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