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고무신 부부

○.약초-하수오 본문

진품 명품

○.약초-하수오

백고무신 부부 2016. 2. 11. 08:34

수십년 야생에서 숨어 지낸 하수오

✍.하수오

분류 ; 여러해살이 덩굴풀                                     학명 ; Pleuropterus multiflorus 

분포지역; 전국 각지                                            자생지역 ; 밭에 재배 

번식 ; 씨                                                           약효 ; 덩이뿌리 

생약 명 ; 적하수오(赤何首烏)                                키 ; 1∼3m 

과 ; 마디풀과                                                     별칭 ; 지정(地精)·홍내소(紅內消)      

채취기간 ; 가을∼이듬해 봄                                  취급요령 ; 둘로 쪼개어 말려 쓴다. 

특성 ; 평온하고 따뜻하며, 쓰고 달다.                     독성여부 ; 없음                                                 

1회사용량 ; 뿌리 4∼6g                                       주의사항 ; 오래 써도 무방하다. 

동속약초 ; 나도하수오 

 

어긋나는데 길이 3~6cm, 나비 2.5~4.5cm인 달걀 모양의 심장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밑은 심장 밑 모양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자루가 길고 잎자루 밑 부분에 짧은 잎집이 있다. 턱잎은 원통 모양이고 짧다.

 

8∼9월에 흰 꽃이 가지 끝에서 원추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핀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는데 처음에는 짧지만 꽃이 피면 좀 더 길어진다. 꽃잎은 없으며 수술은 8개이고 꽃받침보다 짧다. 씨방은 달걀꼴이고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

긴 뿔 모양의 수과를 맺는데 3개의 날개가 있으며 꽃받침에 싸여 있다. 열매가 익으면 터져서 흰 솜털이 달린 씨가 나온다.

특징 및 사용 방법

붉은조롱·새박뿌리·적갈(赤葛)·토우(土芋)라고도 한다. 뿌리줄기는 땅 속으로 뻗으면서 군데군데 고구마처럼 굵은 덩이뿌리를 형성하는데 붉은빛을 띤 짙은 갈색이다. 한방에서 백하수오라 불리는 약재는 박주가리과에 속하는 큰조롱이라는 식물이며 하수오와는 식물학적으로 다른 식물이다. 줄기의 밑동은 목질이며 껍질은 단단하고 질기다. 줄기는 길게 뻗어 가지를 치면서 왼편으로 감아 올라가는데 털은 없다. 관상용·밀원·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잎을 나물로 먹는다. 줄기를 야교등(夜交藤), 잎을 하수엽(何首葉), 뿌리를 적하수오라 한다. 3∼4년 된 뿌리를 채취한다. 약으로 쓸 때는 탕·환제·산제로 하여 사용하거나 술을 담가서 쓴다. 복용 중에 개고기·쇠고기·겨우살이·파·마늘과 비

늘 없는 바닷물고기 등을 금한다.

 

효능

주로 건강 생활을 돕고 소화기를 이롭게 하며, 순환계 질환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

간기능회복, 간염, 간허, 갱년기장애, 건망증, 골절번통(골연풍), 과로, 권태증, 근골위약, 대변불통, 무력증, 배농, 보간·청간, 보정, 산후회복, 심계항진, 완하, 요슬산통, 윤장, 임파선염, 종독, 중독, 창종, 척추질환, 콜레스테롤억제, 행기, 행혈, 혈색불량, 흑발발모

 

♣ 약재명: 하수오(何首烏 Pleuropterus multflorus)

■<하수오의 특징>

마디풀목 마디풀과 여러해살이풀로 길이 1∼3m. 덩굴성이며, 줄기는 가지가 갈라지면서 감겨 올라가고 뿌리는 땅속으로 뻗으며 군데군데 둥근 덩이뿌리를 만든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모양 심장형이며, 길이 3∼6㎝, 나비 2.5∼4.5㎝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턱잎은 짧은 원통형이다.

마디풀목 마디풀과 여러해살이풀. 길이 1∼3m. 덩굴성이며, 줄기는 가지가 갈라지면서 감겨 올라가고 뿌리는 땅속으로 뻗으며 군데군데 둥근 덩이뿌리를 만든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모양 심장형이며, 길이 3∼6㎝, 나비 2.5∼4.5㎝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턱잎은 짧은 원통형이다. 꽃은 8∼9월 흰색으로 피며 가지끝의 원추꽃차례에 달린다. 꽃받침은 5장이고 꽃잎은 없으며 수술은 8개로 꽃받침보다 짧다. 씨방은 달걀꼴이고 암술대는 3개이다. 열매는 수과(瘦果)로 익으면 터져서 흰 솜털이 달린 종자가 나온다. 키는 150 cm 안팎이다. 적갈색 덩이뿌리를 한방에서 하수오라고 하며, 강장·강정·완화제로 쓰인다. 한국·중국·일본 등지에 분포한다. 

  

■하수오의 종류

하수오는 크게 적하수오(赤何首烏)와 백하수오(白何首烏)로 구분하는데, 중국, 일본, 대만등지에서는 적하수오를 약재로 이용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백하수오를 쓰고 있다, 고 합니다.

백하수오는 ‘해박쪼가리(구진등, 새박덩굴, 큰조롱, 은조롱)"라는 다년생 덩굴풀의 괴근(뿌리)을 말하는데, 그 뿌리는 희고 굵으며 길게 뻗어있다 합니다.

 

■하수오의 효능(특효)

덩이 뿌리를 각풍. 구풍. 진해. 거담. 풍습. 토혈. 통경. 감기. 관절염. 사지동통. 수풍. 내풍. 신경쇠약. 두풍. 백일해. 활혈. 양혈. 종독. 강정. 완화. 보익. 강장등의 약으로 씁니다. 동맥경화억제. 사하중추신경흥분 작용을 한다 합니다.

 

▷[동의보감]

1. 하수오는 위장에 좋으며 속을 튼튼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2. 옛부터 머리카락이 빠지지 않게 하며, 오래 먹으면 머리를 검게하고 노화현상을 지연시킨다고 합니다. 이는 인체의 기능이 쇠약해져서 백발이 된 것을 다시 검게 해주는 작용이 있다는 것입니다. 이것은 하수오가 인체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정력을 충족 시켜 준다는 뜻이라고 봅니다.

3. 나력(임파선 결핵).종기.치질에 효과가 있다 합니다.

4. 나이가 들어 피로하고 야위어 지는 병, 중풍환자가 허약할때, 부인의 산후병과 냉대 하증을 치료한다 합니다.

5. 기운과 피를 도와주고, 근육과 뼈를 튼튼히 하며 골수를 메꾼다고 합니다.(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

 

 

'진품 명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덕  (0) 2016.07.04
↕.산 도라지  (0) 2016.05.18
¶.야생 겨우살이_송라  (0) 2016.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