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여! 백 고무신

☞.제사시 지방 쓰는 법 본문

세상사 이모저모/평산신씨 역사 ~~

☞.제사시 지방 쓰는 법

나여! 백고무신 2011. 10. 31. 08:22

제사시 지방 쓰는 법

지방이란?

지방이란 제사를 모시는 대상자를 상징하는 것으로 신주 대신 사용했으며 제사 직전에 만들었다가 제사를 마치면 불에 태웁니다.

담는 내용은 제사를 모시는 사람과 조상과의 친속관계 조상의 관진,시호, 등을 나타냅니다.

묘제,위령제,추도식과 한식에는 지방을 쓰지 않으나 기제사와 설날,추석에 지내는 차례에는 지방이 있어야 합니다.

집에서 제사를 지내는데 지방이 없으면 누구에게 제사를 지내는지 그 대상을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오늘날 지방은 고례에 의한 한문으로 쓴 지방을 쓰고 있는데 건전가정 의례준칙 에는 한글로 지방을 쓴다고 되어 있습니다.

가급적 신위는 고인의 사진으로 하고 사진이 없으면 지방으로 대신 하는것이 좋겠습니다.

한글세대가 많아진 요즈음 어린 후손들에게 제사의 의미와 제사의 참뜻을 전승시키려면, 보고 해득할 수 있는 한글 지방이 좋을듯 합니다.

지방을 쓸 때는 먼저 손을 깨끗이 씻고 몸을 청결하게 해야 합니다.


1. 종이재단법

- 지방에는 원래 정해진 규격이 없지만 신주를 약식화한 것이므로 신주의 체제에 유사하게 제작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 전통적으로 지방은 깨끗한 한지에 길이는 주척(周尺)으로 한자(尺) 두치(寸)이고 너비(幅)가 세치(寸)인 바 길이는 22cm 에 너비가 6cm정도이다. 이 크기에 맞추어 직사각형으로 절단하여 위쪽을 둥글게 오려서 만들었다.

- 위를 둥글게하고 아래쪽을 평평하게 하는 까닭은 천원지방(天圓地方:하늘은 둥글고 땅은 평평하다)을 상징한 것이다.

- 지방은 반드시 붓으로 쓴다.

 

  고조부                        남편/처                       백부모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형/형수                     

      

                                

2. 지방서식(紙榜書式)

ㅇ 기제(忌祭)때 가문(家門)에 따라 단설(單設 : 돌아가신 본인 한 분만을 제사 지냄)로 도지내고, 합설(合設 :돌아가신 내외분을 함께 제사 지냄)로도 지낸다. 현대에는 거의 합설로 지낸다.

ㅇ 지방(紙榜)을 쓸 때 단설(單設)일 때는 돌아가신 분 한분만을 쓰고, 합설(合設)일 때는 돌아가신 내분(內外分)을 함께 쓴다. 만약 전후취(前後娶)일 때는 세분을 함께 써야 한다. 이때 서고동비(西考東비 : 서쪽은 고위(考位)이고 동쪽은 비위임)이므로 좌편에 남자의 신위를 쓴다.

ㅇ 아내의 제사에는 자식이 있어도 남편이 제주(齊主)가 되고 장자(長子)의 제사에는 손자(孫子)가 있어도 아버지가 살아 계시면 아버지가 제주(齊主)가 되며, 남편의 제사일 때는 자손(自孫)이 없을 때만 아내(妻)가 제주(祭主)가 된다.

ㅇ 지방(紙傍)을 쓸 때는 관직(官職)이 있을 때는 그 품계(品階)와 관직(官職)을 쓰고, 관직이 없을 때는 남자는 학생(學生) 또는 처사(處士), 수사(秀士)또는 수재(秀才)라고 쓰며, 여자는 유인(孺人), 여사(女士)라 쓴다.

ㅇ 조선조(朝鮮朝) 때는 남편(男便)이 9품 이상의 관직자(官職者) 일때 그 아내에게 외명부(外命婦)의 품계(品階)를 주었으므로 지방을 쓸 때 남편이 9품 이상의 관직이 있으면 아내도 그에 상응하는 품계를 쓰는데 조선조 후에는 그런 제도가 없으므로 여자 자신이 관직에 있었을 때만 그 관직을 써야 한다.

ㅇ 벼슬이 없었던 분의 경우에는 관작 대신에 처사 또는 학생이라고 쓰는데, 조선시대에는 이 말이 과거 시험을 준비 중이던 예비 관원의 신분을 가진 사람들을 지칭하던 용어이다.

근래에는 "현고학생부군신위(顯考學生府君神位)"와 같이 쓰는 것이 관습처럼 되어서 이를 마치 지방 문안의 표준인 것처럼 여겨 관직을 지낸 사람이건 아니건 이렇게 쓰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매우 잘못된 풍습이라 할 수 있다.

ㅇ 오늘날에도 공직에 있었던 분들의 지방에는 당연히 관직을 써야 하고, 일반 사회단체나 기업체 등에서 중요한 직위에 있었던 분들 모두 공공의 성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공직에 준하는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관직을 쓸 때는 대표적인 직함 하나만을 간략하게 쓰는 것이 좋다.

ㅇ 박사, 석사, 학사와 같은 학위를 가진 분은 그것을 쓰는 것도 좋을 것이다.

예전의 진사나 생원도 일종의 학위로서 신주나 지방에 쓰였기 때문이다.

ㅇ 여성의 경우에는 오늘날은 남편의 벼슬에 따라 봉작하는 법이 없으므로 봉작은 쓸 수 없다. 따라서 남성의 경우에 준하여 쓰는 것이 좋을 것이다. 곧 관직이나 사회적 직함 또는 학위를 쓰는 것이 무방하다.

관직이나 사회적 직함은 전통 시대의 봉작과 같은 성격을 지니기 때문이다.

이는 남녀평등의 정신을 나타내는 것이기도 하다.

또한 일정한 직함이 없는 여성은 그냥 유인이라고 쓰는 것도 좋다.

조선시대에도 봉작을 받지 못한 여성은 모두 유인이라고 썼기 때문이다.

 

  

 

제사상의 금기

1 복숭아

복숭아는 예로부터 귀신을 쫓는 과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서 예전에 무당이 굿을 할때나 귀신 들린 사람을 위하여 푸닥거리를 할때에 틀림없이 복숭아나무 가지를 사용 했습니다 그러므로 복숭아가 제사상에 올려지면 조상의 혼이 올수가 없으므로 복숭아를 사용하면 안됩니다.

2. 끝자가 치자로 끝나는 물고기

바닷고기 중에서 치자로 끝나는 고기와 어자나 기자로 끝나는 고기가 있는데 어자나 기자로 끝나는 고기는 고급어종으로 분류가 된 고기들이며 치자로 끝나는 고기(멸치,꽁치,갈치등)는 하급 어종으로 분류를 하여서 조상님에 대한 예로서 최상의 음식을 대접한다는 예의에서 비롯된 사상입니다

3. 고춧가루와 마늘

복숭아와 같은 맥락입니다 마늘이나 고추가루(붉은색)역시 귀신을 쫓는 음식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고춧가루 경우 붉은색을 생각하면 됩니다. 동짓날 팥죽을 쑤어서 잡귀를 예방 하는 것과 같은 이치로 붉은색은 귀신이 싫어하는 색상입니다.

4. 비늘 없는 생선을 쓰지 않는 이유

비늘 없는 생선은 뱀장어 종류나 메기등을 이르는데 예로부터 비늘이 없는 생선은 부정한 생선으로 구분을 하였으므로 부정한 음식을 조상에게 바칠 수 없다는 이유에서 입니다

5. 머리카락이 들어가면 않되는 이유

이것은 살아있는 사람도 머리카락이 들어가면 기분 나쁘지요 또 다른 이유는 머리카락역시 귀신과 연관이 있습니다. 머리카락을 태우면 나는 냄새역시 귀신을 내모는 역할을 한다는 속설이 있기 때문입니다

 

조부모.gif
0.03MB
남편,처.gif
0.02MB
부모.gif
0.02MB
여자지방쓰기.jpg
0.05MB
남자지방쓰기.jpg
0.05MB
증조부모.gif
0.03MB
고조부모.gif
0.03MB
백부모.gif
0.02MB
형,형수.gif
0.17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