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여! 백 고무신
♔.기제사 지내는 순서 본문
기제사란? : 고인이 돌아가신 날을 기일(忌日), 또는 휘일(諱日)이라고 하는데, 대상(大祥)을 지낸 일 년 후부터 매년 이날 지내는 제사가 기제사이다. 보통은 제사라고 부른다. 제사를 지내는 날은 고인이 돌아가신 날로, 자시(子時)에 시작해서 닭이 울기 전에 끝내는 것이 원칙이다. 보통 4대 조상인 고조부모까지 모시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기제사 지내는 순서
① 영신(迎神) : 먼저 대문을 열어 놓고, 제상의 뒤쪽(북쪽)에 병풍을 치고 제사상을 놓고 제수를 진설한 다음 지방을 설치하여 제사 준비를 마친다.
옛 제례에는 출주라 하여 사당에서 신주를 모셔 내오는 의식도 있었다.
② 강신(降神) : 영혼의 강림을 청하는 의식으로서, 제사드릴 신을 제사상으로 강림시키는 절차이다.
강신이란 신을 제사상으로 강림시켜 신위께서 음식을 드시기를 청한다는 뜻이다. 강신은 제주 이하 모든 참가자가 참석한 뒤 제주 혼자 신위 앞에 나아가 꿇어 앉아 분향하고 東집사가 상에 있는 잔을 들어 제주에게 건네주고 잔에 술을 조금 따라 주면, 제주는 두 손으로 잔을 들고 향불 위에서 세 번 돌린 다음 모사(茅沙)그릇(퇴주그릇)에 조금씩 세 번에 나누어 붓고 빈 잔을 집사에게 다시 돌려주고 일어나서 두 번 절한다.
향을 피움은 위에 계신 신을 모시고자 함이요. 술을 따르는 것은 아래에 계신 신을 모시고자 함이다.
③ 참신(參神) : 제사에 참여한 모든 사람들이 다 함께 고인의 신위에 참배하는 절차로서 모든 참 사자가 일제히 두번 절하며, 첫 문안 인사이다.
남자 제관은 두 번 절하고 여자 제관은 네 번 절한다. 이는 음양의 이치에 따라 양의 수는 1, 음의 수는 2로 간주하였기 때문이다. 산 사람에게는 양의 도를 따르기 때문에 한 번씩만 절하고 죽은 사람에게는 음의 도를 따르기 때문에 두 번씩 절하는 것이다. 그리고 여자는 음의 도에 속하기 때문에 두 번씩 두 번 절하는 것이라 한다. 미리 제찬을 진설하지 않고 진찬이라 하여 참신 뒤에 제찬을 올리기도 한다. 진찬 때는 주인이 육, 어, 갱을 올리고 주부가 면, 편, 메를 올린다. 신주(神主)인 경우에는 참신을 먼저하고 지방(紙榜)인 경우에는 강신을 먼저 한다.
④ 초헌(初獻) : 제주가 첫 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이다.
제주는 고위의 신위부터 차례로 첫잔 드리기를 행한다. 서 집사가 먼저 고위의 잔반을 받들어 제주에게 주면 동 집사가 서향하여 잔에 술을 가득 붓는다.
제주는 오른손으로 잔을 들어 향불 위에서 세 번 돌리고 모사그릇에 조금씩 세 번 부은 다음 두 손으로 받들어 좌(서면)집사에게 준다. 좌 집사는 잔을 받아 메 그릇과 갱 그릇 사이의 앞쪽에 놓고 제물 위에 젓가락을 올려놓는다.
제주는 두번 절한다. 비위의 잔에도 같은 방법으로 한다. 과거에는 초헌 때 육적을 즉석에서 화로에 굽고 소금을 발라 제사상에 올렸다 한다.
⑤ 독축(讀祝) : 축문 낭독의 절차로 초헌이 끝나고 참 사자가 모두 꿇어앉으면 축관이 옆에 앉아서 축문을 읽든가 제주가 엄숙한 목소리로 천천히 크게 읽어야 한다. 축문을 읽는 동안 참 사자들은 모두 엎드려 고인을 추모한다. 축문 읽기가 끝나면 모두 일어나 두 번 절한다. 옛날에는 독축 뒤에 직계 자손들은 곡을 하였으며, 부모의 기제사는 반드시 곡을 해야 했고 조부 이상의 조상 제사에는 하지 않아도 되었다.
⑥ 아헌(亞獻) : 신위에 두 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으로 원래는 주부가 올린다.
초헌 때와 같으나 모사에 술을 따르지 않으며, 주부가 잔을 올리고 절할 때는 4배를 한다. 아헌은 [가례]의 예서에서 모두 주부가 행하는 것으로 규정되어 있는데 이는 "제사는 부부가 함께 한다(夫婦共祭)"는 정신에서 나온 예법이지만 전통적으로 여자가 헌작하는 풍습이 드물었으므로 아헌은 주로 제주 이외의 친족 형제들이 행하였다. 이때 잔을 올리고 싶은 사람은 올려도 되며 잔을 올린 사람은 절을 두 번 하도록 한다.
⑦ 종헌(終獻) : 세 번째 마지막 술잔을 올리는 의식이다.
삼헌이라고도 하며 아헌자의 다음 가는 근친자가 아헌 때와 같이 한다. 잔은 7부쯤 부어서 올리고 재배한다.
⑧ 첨작(添酌) : 유식(侑食)이라고도 하며, 종헌이 끝나고 조금 있다가 제주가 다시 신위 앞으로 나아가 끓어 앉으면 집사는 술 주전자를 들어 종헌 때 7부쯤 따라 올렸던 술잔에 세 번 첨작하여 술잔을 가득 채우거나, 서 집사가 술잔을 내려 축관이나 제주에게 주면 동 집사가 줄 주전자를 들고 세 번에 나누어 채워주면 다시 축관이나 제주는 그 잔을 집사에게 주고 집사는 원래 위치대로 술잔을 놓는다. 근래에는 다른 잔에 술을 부어 집사에게 주면 집사는 세 번에 나누어 잔에 채우도록 하기도 한다.
⑨ 계반(啓飯) 삽시정저(揷匙正箸) : 첨작이 끝나면 주부가(요즈음은 집사가 함) 메 그릇의 뚜껑을 열고 숟가락 바닥이 동쪽으로 가도록 메 그릇의 중앙에 꽂는다. 젓가락을 세 번 고른 뒤 어적이나 육적 위에 가지런히 옮겨 놓는다. 삽시정저가 끝나면 제주는 두 번, 주부는 네 번 절한다. 가문에 따라 계반을 초헌 때 하는 경우도 있고 또 저를 시접에 바르게 하는 경우도 있으며 저를 적에 올리는 가문도 있다.
※ 유식(侑食) : 영위에게 음식을 권하는 의식으로 첨작과 삽시정저의 두절차를 통틀어 유식이라고 하는데 집사자가 잔에 첨주한 다음 젯메에 숟가락을 꽂고 젓가락을 시접 위에 올려놓되, 손잡이 부분이 서쪽으로 가게 한다.
⑩ 합문(閤門) : 합문이란 조상신이 안심하고 식사를 할 수 있게 사람들이 잠시 피하는 의식이다. 참 사자가 모두 잠시 밖으로 나가 문을 닫고 기다린다. 대청마루에 제사상을 차렸으면 뜰 아래로 내려가 읍한 자세로 3~4분 기다린다. 단칸방의 경우에는 제자리에 엎드려 몇 분 동안 있다가 축관이 세 번 기침하면 일어선다. 참 사자 이하 남자들은 문의 동편에 서서 서쪽으로 향하고, 주부 이하 여자들은 문의 서편에 서서 동으로 향하는데 이는 음식을 드시는 조상을 정면으로 향하기가 미안해서이다.
⑪ 계문(啓門) : 합문 후 닫았던 문을 여는 절차이다. 축관이 헛기침을 세 번하고 문을 열고 들어가면 참 사자가 모두 뒤따라 들어가면 된다. 합문하지 않았으면 계문철자는 생략된다.
⑫ 헌다(獻茶) : 갱을 내리고 숭늉 또는 제수를 올린 뒤 메 세 술을 떠서 물에 말아 놓고 저를 고른다. 숟가락은 손잡이가 서쪽으로 가게 걸쳐 놓는다. 이때 참 사자는 모두 머리를 숙이고 잠시 동안 조용히 2, 3분간 궁극하고 있다가 축관이 큰 기침을 하면 참 사자들은 평신한다.
⑬ 철시복반(撤匙覆飯) : 제주는 서쪽을 향하고 축관이 동쪽을 향해서 이성(利成)을 고한 다음 숭늉그릇에 놓인 수저를 거두고 메 그릇에 뚜껑을 덮는다. 이성을 고하지 않는 가문도 있다.
⑭ 사신(辭神) : 신에 대한 작별인사의 의식이며 고인의 영혼을 전송하는 절차로서 참 사자가 신위 앞에 일제히 두 번 절한 뒤, 지방과 축문을 불사른다. 지방은 축관이 모셔 내온다. 신주일 때는 사당으로 모신다. 이로써 제사를 올리는 의식 절차는 모두 끝난다.
⑮ 철상(撤床) : 제상 정리의 절차로 제상 위의 모든 제수를 집사가 뒤쪽에서부터 차례로 물린다. 제사에 사용한 잔, 주전자, 퇴주그릇 등에 있는 술은 모두 병에다 부어 보관하는데, 이것을 복주(福酒)라고 한다. 과일, 채소, 나물, 고기, 기타 음식들은 모두 일반 그릇에 옮겨 담고 제기는 잘 세척하여 보관한다.
▶음복(飮福) : 음복이란 조상께서 주시는 복된 음식이란 의미로 참 사자가 한자리에 앉아 제수를 나누어 먹는데 이를 음복이라 한다. 음복을 끝내기 전에는 제복을 벗거나 담배를 피워서는 안 된다. 고례에는 준()이라 하여 참 사자뿐만 아니라 가까운 이웃들에게 제사 음식을 나누어 주고 이웃 어른들을 모셔다가 대접하기도 했다.
제 례 절 차(凶祀) 설명
降神禮(강신례) 降神은 제사드릴 神을 강림케 하는 의식,
초헌관이 관세위에서 손을 씻고 닦은 후에 향안 앞에 꿇어 앉아 향을 세 번 피우고 술을 처서 세번 三除(뢰주(酹酒),祭酒,라고도 함)하고 빈 잔을 신위 앞에 올린다.
(향을 피워서 하늘에 계신 魂을 청하고 삼 제뢰주를 하여 무덤에 계신 魄을 청하는 의식이다.) (사람이 죽으면 혼은 昇天하고 백은 땅(至地)으로 돌아간다)
參神禮(참신례) 오신 신에게 먼저 인사하는 순서이다,
참석한 모든 제원이 절을 두 번 한다.
(혼과 백이 와서 합하여 신이 않자 계시니 인사를 하는 례)
初獻禮(초헌례) 오신 신에게 우선 먼저 술을 권하는 첫 번째 례이다 ,
(헌관만 부복하고 우 집사가 술을 치면 초헌관이 받아서 獻爵(향불 위에서 높이 들었다, 내리는 동작)을 하고 좌 집사가 받아서 신위 앞에 놓는다. 초헌관은 부복했다가 일어나 두 번 절하고 일어나서 다시 부복(跪)한다,)
독축= 축관이 초헌관 우측에 서쪽을(헌관방향, 흉사,)향하여 꿇어 앉아 독축을 한다.
(초헌관은 일어났다가 두 번 절하고 물러난다(復位)(吉祀는 좌측에서독축, 凶祀는 우측에서 독축) 축관도 일어나서 물러난다 (흉사는 축관이 헌관 우측에 선다)
亞獻禮 (아헌례) 신위께 두 번째 술을 권하는 례 이다
아헌관이 관세위에서 손을 씻고 신위 앞에 부복하면 우집사가 잔에 술을 처서 아헌관에게 주면 아헌관은 받아서 향불위에서 헌작을 하고 좌 집사가 받아서 신위 앞에 올린다.
아헌관은 두 번 절하고 물러난다(復位)
(아헌은 보통 주부가 하는 것이나 주부가 없을 시는 맏딸, 차남, 촌수가 가장 가까운 사람이 한다)
終獻禮 (종헌례) 신위께 세 번째 술을 권하는 례이다
종헌관이 관세위에서 손을 씻고 신위 앞에 부복하면 우집사가 잔에 술을 처서 종헌관에게 주면 종헌관이 받아서 향불위에서 헌작을 하고 좌 집사가 받아서 신위 앞에 올린다, 종헌관은 두 번 절하고 물러난다(復位)
(종헌관은 사위, 고종,(여상에는 이종도 한다) 등,
친빈(親賓)이한다. (가까운 外親,,,사위는 망자와 촌수가 없다, 무촌이고 남남이다, 그래서 사위를 [백년손님]이라고함)
侑食禮 (유식례) 유식은 신에게 음식을 드시도록 권하는 절차이다,
첨작 = 초헌관이 신위 앞에 부복하면 우 집사는 다른 잔에다가 술을 처서 초헌관에게 주면 초헌관은 받아서 헌작(술잔을 향불위에 높이 오렸다가 내리는 동작)하고 좌 집사가 받아서 신위전의 술잔에 조금씩 세 번에 나누어 붓는다. 이것을 첨작(添酌)이라고 한다. (밥과 찬을 드시고 술도 조금 더 잡수시라고 권하는 례이다,(飯酒이다))
초헌관은 두 번 절하고 뒤로 물러선다. (첨작배례=두번 절한다)
삽시정저 = 수저를 뫼 밥에 꼿고 절(箸)은 적첩(구의) 위에 놓는다.
(밥과 반찬을 잡수시라는 뜻)
부복 = 참석한 모든 제관이 부복 한다 (俯伏시간은 一飯九食之頃(밥을 아홉 숟가락 정도 먹는 시간, 어른이 식사 중에 후손이 쳐다보고 있을 수 없으므로 부복 한다)(문중에 따라 합문, 개문을 하는데 부복 은 합문개문을 대신하는 절차임,)
희음 = 축관이 세 번 기침을 한다. (이는 식사를 다 하셨습니까? 라고 하는 뜻임)
興 平身한다 (모든 참석자는 일제히 일어남)(가문에 따라 안 하는 집도 있다.)
갱(進茶,點茶)= 국그릇을 물리고 냉수(茶)를 올리고 밥을 세 숫가락 떠서 물에 만다.
절가락(箸)을 적첩(구의)위에서 내려서 맷 조기 위에 놓는다.
(이는 생선도 잡수시라는 뜻이다)
국궁 = 일제히 국궁한다. (이는 숭늉을 잡수시는 동안 그냥서서 바라볼 수 없으므로 고 개를 숙이고 기다리는 순서이다)
잠시 후에 평신(몸을 바로) 한다,
辭神禮 (사신례) 告 利成 = 고 의성을 한다.
(축관이 초헌관 우측에 서서 상 읍례를 하고“利成”이라 고 세 번 아뢴다) (이는 잡수실 것을 다 올렸습니다. 돌아가실 준비를 하십시오, 란 뜻이다)(길사는 좌측 흉사는 우측,)(가문에 따라 안하는 경우도 있다)
철 시저 = 수저를 내린다,
사신재배 = 모든 참석자가 두 번 절한다 (안녕히 돌아 가시라는 뜻이다)
철상 = 먼저 술잔을 내리고, 뫼밥과 괭물을 물리고 다음은 진설한 순서에 역순으로 철상 한다 (철상은 진설의 역순임)
분축 = 지방과 춘문을 불에 살은다
예필 = 모든 제의례 절차를 맞친다,
飮福禮 (음복례) 음복은 철상한 술과 구의를 삼헌관 에게 올리는 순서 인데
초헌,아헌,종헌,순이고 다음은 나이와 항렬 순이다, 다음 모든 참석자가 식사한다,
(알아보기 쉽게 한글로만 기록 하였다, 참고 하여라,아버지가,)
(家兒의聘丈 初喪時에 三虞祭,脫喪祭에 참고용으로 작성,박원우)
'세상사 이모저모 > 평산신씨 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숭겸장군유적지(대구 지묘동,2012/03/04) (0) | 2012.03.04 |
---|---|
☞.평산신씨 문희공파 대표적 인물 (0) | 2012.02.22 |
☞. 제사(祭祀) 지내는 순서 (0) | 2011.11.17 |
☞.제사시 지방 쓰는 법 (0) | 2011.10.31 |
[스크랩] 족보 상식 백과 (0) | 2011.09.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