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여! 백 고무신

☞. 제사(祭祀) 지내는 순서 본문

세상사 이모저모/평산신씨 역사 ~~

☞. 제사(祭祀) 지내는 순서

나여! 백고무신 2011. 11. 17. 18:16

제사란?

가정에서 봉행해 온 제사는 다음과 같다.

1) 사당(祠堂)에 올리는 제의 : 대종(大宗소종(小宗)은 집 안에 사당을 모시고 있다. 사당에는 고조 이하 4대의 신위를 봉안하고 있는데, 초하루[보름[]에 분향을 하고 기일(忌日)에는 제사를 드린다. 집안에 중대한 일이 생겼을 때는 반드시 고유(告由)를 하고, 색다른 음식이 생겼을 때 먼저 드리며, 계절의 신미(新味)가 났을 때도 마찬가지이다.

2) 사시제(四時祭)사계절에 드리는 제사로 중월(2·5·8·11)에 사당에서 지낸다.

3) 시조제(始祖祭)시조를 잇는 대종손이 제주가 되어 동지에 지낸다. 동지는 일양(一陽)이 시생(始生)하는 날이라, 이를 상징하는 뜻에서 시조의 제사를 지낸다.

4) 선조제(先祖祭)초조(初祖) 이하 고조 이상을 입춘(立春)에 지낸다. 입춘은 생물지시(生物之始), 곧 만물이 싹을 틔우기 시작하는 날이기 때문에 이를 상징하여 선조를 제사지내는 것이다.

5) 이제(禰祭)아버지의 사당에 계추(季秋: 음력 9)에 지내는 제사이다. 계추는 성물지시(成物之始), 곧 만물을 거두는 무렵이라 이를 상징하여 조상 중에 가까운 아버지의 제사를 지낸다.

6) 묘제(墓祭)산소에서 지낸다. 기제(忌祭)로 받들지 않는 조상에게 드리는 제향이다.

7) 기제(忌祭)죽은 날, 즉 기일에 지낸다. 사대봉사(四代奉祀)라 하여 4대를 지내며 해당되는 신위에만 드린다.

 

 

※. 제사(祭祀) 지내는 시간

  ○.제사의 예법에는 별세한 날 자시(子時)에 제사를 지낸다고 되어 있다. 이는 자정 (0시)부터 인시(寅時, 5時)까지 날이 새기전 새벽에 지내는 것을 의미한다. 자시에 기재를 올려야 한다는 것은 고인이 돌아가신 날 제일 먼저 제사를 올리는 정성을 강조한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 사회 구조상 자시에 기재를 지내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므로 가정의례준칙에서도 별세한 날 일몰 후 적당한 시간에 지내도록 되어 있는 바 저녁 8시-9시 사이에 행사하는 것이 적당하며 결례도 아니라고 본다.

※. 제사(祭祀) 지내는 순서

제사의 진행순서와 예법은 가문과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이 내용을 참고 하여 가문과 지역에서 행하여 지는 순서와 예법에 맞게 제사를 진행하면 될 것입니다

1.영신(迎神)

  먼저 대문을 열어 놓는다. 제상의 뒤쪽(북쪽)에 병풍을 치고 제상 위에 제수를 진설한다. 지방을 써 붙이고 제사의 준비를 마친다. 예전에는, 출주(出主)라 하여 사당에서 신주(神主)를 모셔 내오는 의식이 있었다.

2.분향강신(焚香降神)

  영혼의 강림을 청하는 의식이다.  제주(祭主)가 신위 앞으로 나아가 꿇어 앉아 향로에 향을 피운다. 집사(執事)가 제상에서 잔을 들어 제주에게 건네주고 잔에 술을 조금 따른다.  제주는 두 손으로 잔을 들고 향불 위에서 세 번 돌린 다음, 모사 그릇에 조금씩 세 번 붓는다.  빈 잔을 집사에게 다시 건너 주고 일어나서 두 번 절한다.  집사는 빈 잔을 제자리에 놓는다.  향을 피우는 것은 하늘에 계신 신에게 알리기 위함이고, 모사에 술을 따르는 것은 땅 아래 계신 신에게 알리기 위함이다.

3.참신(參神)

  고인의 신위에 인사하는 절차로서 참사자(參祀者) 모두 신위를 향하여 두 번 절한다.  신주를 모시고 올리는 제사일 때는 참신을 먼저 하고 지방을 모셨을 경우에는 강신을 먼저 한다.  미리 제찬을 진설하지 않고 참신 뒤에 진찬(進饌)이라 하여 제찬을 올리기도 한다.  진찬때에는 주인이 육(肉,고기) 어(魚,생선) 갱(羹,국)을 올리고 주부가 면(麵,국수) 편(餠,떡) 메(飯,밥)를 올린다.

4.초헌(初獻)

  제주가 첫 번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이다.  제주가 신위 앞으로 나아가 꿇어 앉아 분향한다.  집사가 술잔을 내려 제주에게 주고 술을 가득 붓는다.  제주는 오른손으로 잔을 들어 향불 위에 세 번 돌리고 모사 그릇에 조금씩 세 번 부은 다음 두 손으로 받들어 집사에게 준다.  집사는 잔을 받아서 메 그릇과 갱 그릇 사이의 앞쪽에 놓고 제물 위에 젓가락을 놓는다.  제주는 두 번 절한다.  잔은 합설(合設,고인의 내외분을 함께 모시는 것)인 경우 고위(考位,남자) 앞에 먼저 올리고 비위(여자) 앞에 올린다.  집안에 따라서는 술을 올린 뒤 메 그릇의 뚜껑을 연다.

5.독축(讀祝)

  축문 읽는 것을 독축이라 한다.   초헌이 끝나고 참사자가 모두 꿇어 앉으면 축관은 제주 좌측에 앉아 천천히 정중하게 읽는다.  축문은 제주가 읽어도 무관하다.  독축이 끝나면 참사자 모두 일어나서 재배하는데 초헌의 끝이다.  과거에는 독축 뒤에 곡을 했다.

6.아헌(亞獻)

  두 번 째 잔을 올리는 의식이다.  원래는 주부(며느리)가 올리는 것이 관례이나 주부가 올리기 어려운 경우에는 제주의 다음가는 근친자인 남자가 초헌 때와 같은 순서에 따라 올리기도 한다.  이때 모사에는 술을 따르지 않는다.  주부(며느리)는 네 번 절한다.

7.종헌(終獻)

  세 번 째 술잔을 올리는 의식이다.  아헌자 다음가는 근친자가 올리는 게 원칙이나 참가자 중 고인과의 정분을 고려하여 잔을 올리게 하기도 한다.  아헌 때와 같은 방법으로 한다. 잔은 7부쯤 부어서 올린다.

8.첨작(添酌)

  종헌이 끝나고 조금 있다가 제주가 신위 앞으로 나아가 꿇어 앉으면 집사는 술주전자를 들어 신위 앞의 술잔에 세 번 첨작하여 술잔을 가득 채운다.   집안에 따라서는 집사로부터 새로운 술잔에 술을 조금 따르게 한 다음 집사는 다시 이것을 받아, 신위 앞의 술잔에 세 번으로 나누어 첨작 하는 경우도 있다.

9.삽시정저(揷匙正箸)

  좌측부터 조부, 조모 순으로 메 그릇의 뚜껑을 열고 숟가락을 밥 위의 중앙에 꽂는 의식이다.  이때 수저 바닥(안쪽)이 동쪽으로 가게 한다. 젓가락은 시접 위에 손잡이가 왼쪽을 보게 놓는다.  제주는 두 번, 주부는 네 번 절한다.

10.합문(闔門)

  영위(靈位)께서 식사하는 시간을 갖게 하는 의식이다.  참사자가 모두 잠시 밖으로 나가고 문을 닫고 몇 분 동안 조용히 기다린다.   대청마루에 제상을 차렸으면 뜰 아래로 내려가 읍(揖,상견례 때 하는 절)한 자세로 잠시 기다린다.   단칸 방의 경우 제자리에 업드려서 몇 분 동안 있다가 일어선다.

11.계문(啓門)

  계문이란 문을 여는 것을 말한다.   축관(祝官)이 세 번 헛기침을 한 후 방문을 열며 들어가면 참사자가 모두 뒤따라 들어간다.

12.헌다(獻茶)

  헌다란 차를 올린다는 뜻이다.  갱(국그릇)을 내리고 숭늉을 올려 숟가락으로 메를 세 번 떠서 숭늉에 말고 수저를 숭늉 그릇에 놓는다.  이때 참사자 모두 읍한 자세로 잠시 동안 꿇어 앉아 있다가 제주의 기침소리를 따라 고개를 든다.

13.철시복반(撤匙復飯)

  숭늉그릇에 놓인 수저를 거두고 메 그릇의 뚜껑을 덮는 것을 말한다.

14.사신(辭神)

  고인의 영혼을 전송하는 절차로서 참사자가 신위 앞에 두 번 절한 뒤 지방과 축문을 향로 위에서 불사른다.  지방은 축관이 모셔 내온다.  신주는 사당으로 모신다.  이로써 제사를 올리는 의식 절차는 모두 끝난다.

15.철상(撤床)

  제상위의 모든 제수를 집사가 물리는데 뒤에서부터 차례대로 한다.

16.음복(飮福)

  참사자가 한자리에 앉아 제수를 나누어 먹는데 이를 음복이라 한다. 음복을 끝내기 전에는 제복을 벗거나 담배를 피워서는 안된다.

 

☞.명절제사 지내는 순서는 독축(讀祝) 아헌(亞獻) 종헌(終獻)을 생략하고 나머지는 동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