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고무신 부부
☞.평산신씨 문희공파 대표적 인물 본문
.평산신씨 문희공파 대표적 인물
평산신씨는 조선후기에 세력을 떨쳐 조선의 대표적인 명벌(名閥) 가문(家門)이다.
평산신씨 파계는 시조의 15대손에서 19개파로 갈리는데,
문희공파(文僖公派)가 30%, 사간공파(思簡公派)가30%, 제정공파(齊靖公派)가 25%를 차지한다.
평산신씨는 조선 후반기에 세를 떨친 명문으로 상신(相臣:영의정,좌의정,우의정) 7명
대제학(홍문관과 예문관의 장) 5명, 판서 20명, 문과 급제자 302명을 배출했다.
그중 평산신씨 인물중 60% 가 문희공파(文僖公派)에서 나왔으며 정언공파(正言公派)」사간공파(思簡公派)에서 많은 인물이 나왔다.
문희공파는 문신(文臣)과 무신(武臣)의 인물이 혼재하며 평산신씨 문희공파로 대중적으로 알려지고 이름난 사람이 있으니 바로 신립장군, 신사임당과 현대인물로는 신익희, 신돌석 장군등이 모두 문희공파이다.
평산신씨 7명의 상신중 3명이 문희공파 출신이다
1.문희공파 시조이며 세종조 명재상으로 세종묘정에 배향된 좌의정 신개(申槩)
2.조선시대에 무과출신으로 영의정에 오른 경진(景禛)
3. 북한산성 축성한 영의정 신완(申琓)
1. 문희공파 주요인물을 보면 문희공파 시조이신 신개(申槩)는 조선 세종때 예문관 대제학과 좌찬성을 거처 세종때 명재상으로 소문난 황희, 맹사성과 함께 우의정, 좌의정에 올랐으며 궤장(几杖 )을 하사 받았다. 졸 한후 세종의 태성성대를 이루는데 큰 공을 세워 종묘에 있는 세종묘정에 배향되었다.
2. 임진왜란때 탄금대에서 배수진을 친 것으로 유명한 신립장군의 아들로 조선시대 무관출신으로 영의정에 오른 두명 중 한사람이 신경진(申景禛)이다
3. 숙종때 장휘빈의 처벌을 완화하는 것을 주청하였고 시무(時務) 8조를 올렸으며 북한산성의 축성을 건의하여 윤허를 받은 영의정 신완(申琓)
문희공과 후손 정시록(廷諡錄) 및 관직(官職)
1. 정시록(廷諡錄)
칭 호 |
자 |
자 |
세 |
시 호 | |
문희공 |
개 |
槩 |
15 |
勤學好問曰 文 |
小心畏忌曰 僖 |
문절공 |
상 |
鏛 |
18 |
忠信愛人曰 文 |
好兼自克曰 節 |
정청공 |
명인 |
命人 |
18 |
不隱無屈曰 貞 |
避遠不義曰 淸 |
충헌공 |
잡 |
磼 |
20 |
臨難不忘國曰 忠 |
行善可紀曰 憲 |
충장공 |
립 |
砬 |
20 |
危身奉上曰 忠 |
死于原野曰 壯 |
충익공 |
경진 |
景禛 |
21 |
危身奉上曰 忠 |
知盧深遠曰 翼 |
경의공 |
경유 |
景裕 |
21 |
由義以齊曰 景 |
剛而能斷曰 毅 |
충도공 |
경인 |
景禋 |
21 |
危身奉上曰 忠 |
心能制義曰 度 |
충정공 |
준 |
埈 |
21 |
危身奉上曰 忠 |
寬要令終曰 靖 |
장무공 |
여철 |
汝哲 |
23 |
武能持重曰 莊 |
剛强直理曰 武 |
문장공 |
완 |
琓 |
24 |
忠臣接禮曰 文 |
履正志和曰 莊 |
효목공 |
대현 |
大顯 |
27 |
慈惠愛親曰 孝 |
剛而能斷曰 毅 |
정무공 |
명순 |
命淳 |
29 |
淸白自守曰 貞 |
折衡禦侮曰 武 |
효정공 |
억 |
檍 |
30 |
慈惠愛親曰 孝 |
淸白守節曰 貞 |
장숙공 |
헌 |
櫶 |
30 |
武能特重曰 莊 |
執心決斷曰 肅 |
정익공 |
정희 |
正熙 |
31 |
寬樂令終曰 靖 |
思慮深遠曰 翼 |
2. 상신(相臣)
칭 호 |
자 |
자 |
세 |
관 직 |
문희공 |
개 |
槩 |
15 |
좌의정 |
충익공 |
경진 |
景禛 |
21 |
영의정 |
문장공 |
완 |
琓 |
24 |
영의정 |
3.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
칭 호 |
자 |
자 |
세 |
관 직 |
충헌공 |
잡 |
磼 |
20 |
병조판서 |
장무공 |
여철 |
汝哲 |
23 |
형조판서 |
장숙공 |
헌 |
櫶 |
30 |
형조판서 |
4. 판서(判書)
칭 호 |
자 |
자 |
세 |
관 직 |
문절공 |
상 |
鏛 |
18 |
이조판서 |
충헌공 |
잡 |
磼 |
20 |
병조판서 |
충정공 |
준 |
埈 |
22 |
형조판서 |
효목공 |
대현 |
大顯 |
26 |
형조판서 |
정무공 |
명순 |
命淳 |
29 |
형조판서 |
효정공 |
억 |
檍 |
30 |
공조판서 |
정익공 |
정희 |
正熙 |
31 |
형조판서 |
5. 한성판윤(漢城判尹)
칭 호 |
자 |
자 |
세 |
관 직 |
규정공 |
후재 |
厚載) |
24 |
한성판윤 |
6. 참판(參判)
자 |
자 |
세 |
관 직 |
경호 |
景琥 |
21 |
형조참판 |
후명 |
厚命 |
24 |
병조참판 |
광하 |
光夏 |
25 |
공조참판 |
방 |
昉 |
26 |
이조참판 |
대승 |
大升 |
27 |
예조참판 |
대우 |
大羽 |
27 |
호조참판 |
대겸 |
大謙 |
27 |
공조참판 |
대응 |
大膺 |
28 |
병조참판 |
숙 |
橚 |
30 |
병조참판 |
환 |
桓 |
30 |
병조참판 |
7. 장신(將臣)
자 |
자 |
세 |
비 고 |
경진 |
景禛 |
21 |
영의정 |
경원 |
景瑗 |
21 |
총융사겸 포도대장 |
경인 |
景禋 |
21 |
어영대장 |
경호 |
景琥 |
21 |
한성판윤 |
준 |
埈 |
22 |
형조판서 |
여철 |
汝哲 |
23 |
형조판서 |
광하 |
光夏 |
25 |
공조참판 |
대현 |
大顯 |
27 |
형조판서 |
대겸 |
大謙 |
27 |
공조참판 |
홍주 |
鴻周 |
28 |
병조참판 |
동 |
絧 |
28 |
|
명순 |
命淳 |
29 |
형조판서 |
헌 |
櫶 |
30 |
형조판서 |
환 |
桓 |
30 |
병조참판 |
석희 |
奭熙 |
31 |
경무사(警務使) |
정희 |
正熙 |
31 |
한성부윤 |
8. 방백(方伯)
자 |
자 |
세 |
비 고 |
자준 |
自準 |
16 |
대사성 |
응희 |
應熙 |
31 |
관찰사 |
9. 공신(功臣)
자 |
자 |
세 |
비 고 |
잡 |
磼 |
20 |
병조판서 |
경진 |
景禛 |
21 |
영의정 |
경유 |
景裕 |
21 |
병마사 |
경인 |
景禋 |
21 |
어영대장 |
경원 |
景瑗 |
21 |
총융사 포도대장 |
준 |
埈 |
22 |
형조판서 |
10. 순절(殉節)
자 |
자 |
세 |
비 고 |
립 |
砬 |
20 |
도순변사(都巡邊使) |
길 |
|
20 |
|
급 |
石業 |
20 |
|
경지 |
景祉 |
21 |
|
경일 |
慶一 |
21 |
|
천남 |
天男 |
21 |
|
11. 증의정(贈議政)
자 |
자 |
세 |
비 고 |
화국 |
華國 |
19 |
|
잡 |
磼 |
20 |
|
립 |
砬 |
20 |
|
준 |
埈 |
22 |
|
해 |
垓 |
22 |
|
여정 |
汝挺 |
22 |
|
자 |
자 |
세 |
비 고 |
석번 |
碩蕃 |
22 |
|
조선 왕실과의 인척관계[편집]
광평대군(세종의 오남)정비 영가부부인 평산 신씨
덕천군(정종의 서자)사위 신갑지
희령군(태종의 서자)계비 평산군부인 평산 신씨
후령군(태종의 서자)비 무안군부인 평산 신씨, 사위 신정
영해군(세종의 서자)정비 임천군부인 평산 신씨
무산군(성종의 서자)정비 군부인 평산 신씨
견성군(성종의 서자)정비 영양군부인 평산 신씨
신성군(선조의 서자)정비 군부인 평산 신씨
상계군(철종의 백부)정비 군부인 평산 신씨
정숙옹주(선조의 서녀)부마 신익성
'세상사 이모저모 > 평산신씨 역사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윗사람이나 제사에 절하는 법 (0) | 2012.03.08 |
---|---|
▣.신숭겸장군유적지(대구 지묘동,2012/03/04) (0) | 2012.03.04 |
♔.기제사 지내는 순서 (1) | 2012.01.30 |
☞. 제사(祭祀) 지내는 순서 (0) | 2011.11.17 |
☞.제사시 지방 쓰는 법 (0) | 2011.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