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고무신 부부

※.지리산(바래봉),1,165.2m (2014.05.18) 본문

체력은국력/300대 명산

※.지리산(바래봉),1,165.2m (2014.05.18)

백고무신 부부 2014. 5. 19. 08:46

이번에도 당근 와이퍼랑 지리산에 있는 바래봉으로 가기로 결정, 철쭉꽃이 마지막 절정이라 생각(혼자)하고 들머리를 남원시 산내면 내령리 (팔랑치마을) 620-2로 정하고 출발한다.

바래봉의 유래

전라북도 남원시 운봉읍에 위치한 전국 제1의 철쭉 군락지로 유명한 ‘바래봉’ 해발 1,165m은 만복대에서 정령치 고리봉 세걸산 줄기와 이어지는 지리산의 봉우리 중의 하나이며 바래봉은 본래 발산(鉢山)이며 발악(鉢岳)이라고도 하였다.

운봉 사람들은 ‘바래봉의 모습이 승려들이 쓰고 다니던 삿갓처럼 보인다 하여 삿갓봉 이라고 불렸으며 또한 바래봉은 나무로 만든 승려들의 밥그릇인 바리대를 엎어 놓은 모양이라는 의미의 바리봉 인대 음이 변하여 현재는 바래봉으로 불리 우고 있다

바래봉 정상에는 셈이 있고 산세가 수려한 명승지로 과거 발악월경(鉢岳月磬)이라 하여 운성(운봉)10경중의 하나이며 이는 바래봉 달빛 아래 들어오는 독경의 경쇠 소리라는 뜻으로 이곳 일대에는 장계암 옥림사 백련사 수성암등 산세에 걸맞게 운치 있는 사찰이 있었으며 현재는 우무실절로 불리우는 운지사(雲智寺)가 있다.

정령치의 유래

서산대사(西山大師)의 황령암기(黃嶺岩記)에 의하면 정령치(해발 1172m)는 기원전 84년에 마한(馬韓)의 왕이 진한(辰韓)과 변한(弁韓)의 침략을 막기 위해 정(鄭)씨 성을 가진 장군으로 하여금 성(城)을 쌓고 지키게 하였다는데서 지명(地名)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네비 주소로 도착한 곳이....어디로 가야하나..

 

팔랑마을에 도착

 

팔랑마을이 우측 (산) 으로 약 2Km 진행하면 있다고 하니 진입한다.

 

일단 팔랑마을 주차장에 주차부터 하고.ㅎㅎ

 

 

팔랑치마을에서 바래봉까지는 약 3.7Km

 

 

팔랑마을에서 주차(개인소유;5,000원) 하고

시작은 둘레길이군요,

 

오래 묵은 초가 지붕..

 

 

 

 

머얼리 보이는 곳이 바래봉인가?  가보자

 

 

흰 철쭉

 

 

 

 

 

 

 

 

 

마지막 철쭉(꽃)이 생명을 다 해가고 있네요.

 

 

그래도 정상 부근에는 아직 철쭉꽃이 남아 있군요.

 

 

 

 

정상을 목전에 두고, ㅜㅜ 제법 가파른 길을 갑니다.

 

 

 

정상에 도착하자 마자 인파가 몰려오기 시작하네요.

 

차례로 줄을 기다려가면서 인증 샷

 

 

낮은 침엽수인데..고목처럼...멋있죠?

 

 

생명을 다 한 고목도 아름다움을 지키고 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