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세상사 이모저모/평산신씨 역사 ~~ (32)
백고무신 부부
☻.'기제사' 와 설, 추석에 지내는 '명절 차례' 현대에는 매년 돌아가신 날 지내는 '기제사' 와 설, 추석에 지내는 '명절차례' 만 장려되고 있습니다. (건전가정의례준칙) - 기제(忌祭) : 기제는 기일제사의 약칭으로 기일 즉, 고인이 돌아가신 날에 해마다 한 번씩 지내는 제사로서 오늘날 ..
.윗사람이나 제사에 절하는 법 1. 절의 의미 절이란 몸을 굽혀 공경(恭敬)을 표시하는 인사방법으로 인간이 살아가는데 있어서 지켜야할 많은 예 절 가운데서도 상대편에 대한 공경과 반가움을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인 행동예절이다. 절은 윗사람을 공경하고 아랫사람을 공경하는 예로써..
대구 동구 지묘동 526에 위치한 대구시 기념물 1호로 지정된 고려태사 개국공신이며, 평산신씨의 시조인 장절공 신숭겸장군은 초명이 능산이며, 신라 말기에 전라도 곡성현에서 태어났습니다. 신숭겸장군은 태어나면서 기골이 장대하고 천성이 용맹스러웠으며, 활 쏘는 재주와 무예가 뛰..
.평산신씨 문희공파 대표적 인물 평산신씨는 조선후기에 세력을 떨쳐 조선의 대표적인 명벌(名閥) 가문(家門)이다. 평산신씨 파계는 시조의 15대손에서 19개파로 갈리는데, 문희공파(文僖公派)가 30%, 사간공파(思簡公派)가30%, 제정공파(齊靖公派)가 25%를 차지한다. 평산신씨는 조선 후반기..
기제사란? : 고인이 돌아가신 날을 기일(忌日), 또는 휘일(諱日)이라고 하는데, 대상(大祥)을 지낸 일 년 후부터 매년 이날 지내는 제사가 기제사이다. 보통은 제사라고 부른다. 제사를 지내는 날은 고인이 돌아가신 날로, 자시(子時)에 시작해서 닭이 울기 전에 끝내는 것이 원칙이다. 보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