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체력은국력/300대 명산 (210)
백고무신 부부

1. 언제 : 2022.01.04일 2. 어디를(주봉/높이) : 금오산(칼다봉, 성안전위봉, 현월봉, 할딱봉) 3. 들머리는 : 경북 구미시 선주원남동 242-1 (백운공원) 4. 특징,볼거리 : ♣.칼다봉(715m), 성안전위봉(851m), 현월봉(976m), 할딱봉(457m) : 금오산 주봉(976.5m)인 현월봉(懸月峯)과 약사봉(藥師峰), 영남8경 중의 하나인 보봉(普峰)이 소백산맥 지맥에 솟아 있으며, 시생대(始生代)와 원생대(原生代)에 속하는 화강편마암과 화강암이 주를 이루고 있다. 산 정상은 비교적 평탄하나 산세가 높고 기이하며, 고려시대에 자연 암벽을 이용해 축성된 길이 2km의 금오산성이 있어 임진왜란 때 왜적을 방어하는 요새지로 이용되었다. 기암괴석이 조화를 이루고 계곡이 잘 발달되어 ..

1. 언제 : 2021.12.29일 2. 어디를(주봉/높이) : 팔공산-신림봉, 낙타봉, 동봉 3. 들머리는 : 대구 동구 용수동 927-5 (팔공산 시설지구,동화사) 4. 특징,볼거리 : ♣.신림봉(820m), 낙타봉(917m), 동봉(1167m) : 5. 누구하고 : 와이퍼(wife))와 둘이서 ~ 6. 난이도 : 上+ 7. 길잡이 : 마무리 하고 귀가합니다. 8. 이동코스/거리는 : 팔공산탑골안내소-깔딱고개-신림봉(팔공스카이라운)-사랑터널-냉골산림욕장-빵재-낙타봉-동봉-염불암(念佛庵)-동화사-원점회귀 (이동거리 계 약 9.05km), 9. 자체평점은 : ●●●◐○ .

1. 언제 : 2021.12.23일 2. 어디를(주봉/높이) : 월악산-(구담봉,338m, 옥순봉,286m) 3. 들머리는 : 충북 제천시 수산면 계란리 370 (계란재 공원지킴터) : ♣. 4. 특징,볼거리 : 월악산 구담봉(龜潭峰), 옥순봉(玉筍峯) ; 청풍호 머리 위로 그림 같은 바위산이 보인다. 대나무를 곧추세운 듯한 옥순봉과 거북 한 마리가 뭍으로 올라가는 듯한 형상의 구담봉이다. 충북 제천시 수산면과 단양군 단양읍의 경계를 이루는 구담봉은 이웃의 옥순봉과 함께 충주호 수상 관광의 백미.호수에서 보는 절경 못지않게 산행코스 또한 최적이다. 옥순봉에서 구담봉으로 이어지는 길은 까마득한 바위가 앞을 가로 막지만 오른쪽으로 돌면 금세라도 무너질 듯한 흙길이 아슬아슬하다. 힘겹게 올라야 하는 암벽코스는..

☞. 언제? : 2024/03/31~ ☞. 어디를?(주봉/높이/행선지) : 팔공산 숲길 6코스- 인봉, 노족봉, 노적봉, 관봉_ ☞. 들머리는? : 경북 칠곡군 동명면 득명리 산 108-1 (한티휴게소) ☞. 특징,볼거리는? : “도장마을, 북지장사, 인봉, 노적봉, 관봉” ☞. 누구하고? : 와이퍼하고 둘이 서~ ☞. 난이도 는? : 방짜유기박물관을 지나 북지장사에서 인봉을 오르는 구간부터 다소 난이도가 있는 코스 임. ☞. 이동코스/거리는? : 도장마을-북지장사-인봉-노족봉-노적봉-관봉~원점회귀 (이동거리 6.7km=왕복)~ ☞. 오늘의 자체평점은? : ●●◐○○

1. 언제 : 2021.11.14일 2. 어디를(주봉/높이) : 대구 팔공산 소원길 (염불봉-신령봉-삿갓봉-은해봉-노적봉-관봉) 3. 들머리는 : 대구 동구 동화사1길 1 (동화사입구) : ♣.는 대구 도학동 팔공산(八公山)에 있는 동학사는 중생들의 병을 고치는 약사여래 근본 도량으로 493년(소지왕 15) 극달(極達)이 창건하여 유가사(瑜伽寺)라 하였다. 그 뒤 832년(흥덕왕 7) 왕사 심지(心地)가 중창하였는데 심지대사가 중창 할 때 눈 덮인 사찰 주변에 오동나무 꽃이 만발하고 있어 그때부터 동화사(桐華寺)로 개칭하였다고 전하며 “봉황새는 오동나무에만 둥지를 튼다,"고 한다. 4. 특징,볼거리 : 동화사, 염불봉, 신령봉, 삿갓봉, 은해봉, 노적봉, 관봉. 5. 누구하고 : 와이퍼(wife))와 둘..

1. 언제 : 2021.11.11일 2. 어디를(주봉/높이) : 팔공산-하늘정원, 청운대, 비로봉, 서봉(삼성봉), 동봉 3. 들머리는 : 경북 군위군 부계면 동산리 산74-1 (군부대 정문 앞 주차장) : 4. 특징,볼거리 : 팔공산-하늘정원, 청운대, 비로봉, 서봉(삼성봉), 동봉 ⬔.청운대(靑雲臺) ⬔.팔공산은 대구의 진산(鎭山)으로 중악(中岳)·부악(父岳)·공산·동수산(桐藪山)으로 불리기도 했다. 비로봉(毘盧峰,1193m)을 중심으로 동서로 관봉(冠峰,850m)에서 가산까지 20km에 걸쳐 장쾌한 능선이 이어진다. 정상은 군사시설과 송전탑 때문에 오를 수 없고, 동봉(東峰,1155m)과 서봉(西峰,1150m)이 실질적으로 오를 수 있는 이 산의 정상이다. 동봉과 서봉 밑으로 각각 병풍바위와 톱날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