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체력은국력/백두대간 (73)
백고무신 부부
언제 2018/12/25 어디를(주봉/높이) 덕유산-할미봉(1026m) 산행 들머리, 위치는 육십령터널 (경남 함양군 서상면 상남리 산 146-19) 특징,볼거리는 : 전북 장수군을 지나 함양군으로 넘어가는 육십령 고개 바로 북쪽에 솟아 있는 암봉이 할미봉이다. 전북 쪽에서 육십령(신라 때부터 요해지(要害地)로 유명하다. 예로부터 이 고개를 넘으려면 60명 이상의 무리를 지어서 고개를 넘어야 도둑떼를 피할 수 있다거나 재몬당까지 60여 굽이가 된다고 해서 붙여졌다 한다.) 고개를 향하여 도로에서 바라보는 기암 괴봉의 운치와 산봉우리를 중심으로 한 주변일대는 철이 바뀔 때마다 형형색색으로 변하여 오가는 사람들의 발길을 멈추게 한다. 산행은 육십령고개 휴게소에서 주로 시작한다. 누구하고 아내(wife)하고 ..
언제 2018/12/22 어디를(주봉/높이) 덕유산-빼봉(1039m)~갈미봉(1211m)~대봉(1263m)~못(지)봉(1343m) 산행 들머리, 위치는 신풍령/빼재 (경남 거창군 고제면 개명리 산22-24) 특징,볼거리는 : 신풍령(빼재)에서 시작하는 빼봉, 갈미봉,대봉,못(지)봉은 설천봉으로 이어지는 덕유산권으로 빼재는 경남과 전북의 도경계로 그 옛날 덕유산의 골이 깊고도 험한 탓에 산적과 짐승들이 많았는데 산적이나 사냥꾼들이 잡아먹은 짐승들의 뼈가 이곳에 수북이 쌓였다고 하네요. 그래서 뼈재라 불리웠다고 하나 어쨋다나, 경상도 사람들의 발음 특징상 뼈재를 빼재로 불렀다고 하는 빼재... 이곳을 신풍령이라고도 하구요. 秀嶺이라고도 합니다. 수령은 秀가 빼어날 수 인 까닭에 빼란 발음만 취하여 수령(빼재..
언제 2018/12/08 어디를(주봉/높이) 삼봉산 [三峰山] 1255m 산행 들머리, 위치는 소사재 (경남 거창군 고제면 고제로 1111) 특징,볼거리는 삼봉산(1,255m)은 3개의 봉우리로 이루어져 삼봉산이라 부르며 전북 무주와 경남 거창의 경계를 이루는 산으로 남쪽에 자리잡고 있는 금봉암이 있는 산이다. ..
60언제 2018/12/01 어디를(주봉/높이) 석교산(화주봉),1207m~민주지산(삼도봉),1177m 산행 들머리,위치는 우두령 (충북 영동군 상촌면 흥덕리 산 11-1) 특징,볼거리는 석교산 (화주봉)은 백두대간 제7,8구간으로 우두령에서 시작해서 석교산~밀목재~삼막골재로 이어지는 코스이다. 딱히 두드러지는 구간은 없지만 정상에서 능선으로 이어지는 곳에서 볼 수 있는 산으로 장엄한 산이기도 하다. 석교산 화주봉의 높이는 1,207m로 정상에 올라서면 1,172m 암봉 뒤로 민주지산 정상과 삼도봉, 석기봉 그리고 각호산을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다. 남쪽방향으로는 백두대간 초점산, 대덕산, 삼봉산, 백수리산, 박석산이 남동방향으로는 국립공원 가야산과 수도산이 위치해 있다. "삼도봉"은 삼남지방 방언의 갈..
1. 언제 : 2018/11/25 2. 어디를 : 바람재[810m], 여정봉[旅程峰] 1030m, 삼성산[三星山] 986m, 3. 들머리는 (위치) : 우두령 (충북 영동군 상촌면 흥덕리 산 11-1) 4. 특징,볼거리는 : 백두대간 제7,8구간으로 바람재~여정봉~삼성산으로 이어지는 구간으로 우두령은 과거 우두령은 황악산, 삼도봉, 석기봉, 민주지산 등 높은 산들이 주위를 둘러싸고 있어 접근성이 매우 떨어지는 오지였기 때문에 고려말 왜구의 노략질과 임진왜란, 한국전쟁 당시에도 많은 사람들의 은신처가 된 곳이기도 하고 특히 임진왜란 초기 왜군이 거창을 거쳐 전라도로 진입하려면 당시 의병장 김연이 2,000여 명의 의병을 매복시켜 1,500 여 명의 왜군을 크게 무찔러 전라도 곡창지대를 지키는데 크게 일조하..